본문 바로가기
구글애널리틱스

[UA] 유니버셜 애널리틱스 계정 설정하기

by 이준건 2021. 6. 29.

 

 

 

 

■ 속성 수준 (Property)

 

  • 속성은 기기별로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 또는 도메인별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 이유는 고객의 행동을 쭉 이어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만약 기기별 트래픽을 알고자 하는 경우에는
  • 보기(view)에서 해당 트래픽을 제외 또는 포함하는 필터를 적용하면 된다.

 

보기 수준에서 데스크톱 트래픽을 제외하는 필터

 

 

 


 

 

 

■ 보기 수준 (View)

 

 

  • 보기를 생성할 때에는 반드시 원본 데이터를 수집하는 보기(raw data view)를 따로 만들어 놓아야 한다.

 

원본 데이터를 수집하는 보기

 

 

  • 보기 수준에서 데이터에 대한 필터링이나 목표 설정이 필요한 경우
  • 이를 실험 할 수 있는 보기를 새롭게 생성한 다음 테스트가 이루어져야 한다.

 

  • 보기에서는 test view에서 목표나 필터에 대한 설정을 완료했다면,
  • 실제로 데이터가 잘 쌓이는지를 확인 한 후 Master view에 추가하는 것이 좋다.

 

  • 보기 수준에서 필터나 목표를 설정했다고 이전 데이터에 대해서 소급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 보기가 생성된 이후의 데이터에만 적용된다.

 

 

 

 

  • 내부 트래픽 또는 대행사 트래픽을 제외하고자 하는 경우
  • 필터에서 IP주소 일치에 제외를 설정하는 필터를 만들고 적용하면 된다.

 

내부 트래픽 또는 대행사의 트래픽을 제외하는 필터

 

 

 

 


 

 

 

 

 

 

  •  계정의 ‘모든 필터’를 이용하면 보기 수준에서 적용된 모든 필터를 쉽게 추가 또는 제거할 수 있다.

 

계정 수준에서 현재 이 계정에 설정된 모든 필터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필터를 선택하고 하단의 '추가', '삭제'를 통해 필터를 보기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참고

 

  • 유니버셜 GA구매(전환) 바로 직전 소스에 성과를 부여한다.

 

 

□ 고객이 네이버 쇼핑 광고를 통해 유입된 후 카드사 도메인에서 결제 및 구매가 이루어졌다고 가정하자.

 

  • 이 경우 네이버 광고가 성과매체로 잡히지 않고,
  • PG 도메인이 성과로 잡히는 문제가 발생한다.
  • 따라서 PG 도메인을 추천 제외 목록에 등록을 해야 네이버 광고가 성과에 잡히게 된다.

 

  • 속성 설정’에서 ‘추적정보’를 누르면 ‘추천 제외 목록(이 도메인을 통해 사이트에 도달하는 사용자는 보고서에 추천 트래픽으로 집계되지 않게 함)’이 있고,
  • 여기에 PG사 도메인을 등록하면 해당 도메인을 추천 목록에서 제외할 수 있다.

 

PG사 도메인 추천(referral) 제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