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잠재고객?
- 사이트에 고객이 유입되면 GA에서는 기본적으로 모든 데이터를 보여주는데,
- 전체 데이터가 아닌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에 부합하는 데이터만을 보여주는 기능이다.
- 한 번 잠재고객 조건을 설정하게 되면, 운영하는 서비스에 따라 다르겠지만, GA4에서는 최대 540일까지 잠재고객 데이터가 보관이 가능하다.
- 즉, 유입 고객이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에 부합하다면 최대 540일까지 해당 고객을 모수로 활용한다는 것이다.
■ 잠재고객 활용 방법 2가지
1. 세그먼트로 활용
- 전체 데이터 중에 내 조건에 맞는 유저의 데이터만 GA 리포트로 보는 기능이다.
- ex, 남자 데이터만 보고싶다 혹은 특정 소스로 들어온 고객들의 데이터만을 보고자 한다면, 이런 것들을 잠재고객의 조건으로 하는 세그먼트로 만들어 해당 데이터만을 확인할 수 있다.
- 세그먼트를 활용하면 하나의 리포트 화면에서 최대 4개까지 비교가 가능하다.
- 세그먼트라는 기능은 잠재고객 기능을 활용하지 않더라도 이용이 가능하지만, 잠재고객으로 세그먼트를 했을 시의 장점은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을 필요할 때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2. 구글 애즈 연동
- 구글 애즈와 연동함으로써 설정해 놓은 잠재고객을 타겟팅 대상으로 활용할 수 있다.
- 반드시 구글 애널리틱스와 구글 애즈가 연동이 되어있어야 한다.
□ cf. 구글 애즈
- 광고를 송출할 때 활용하는 구글의 마케팅 툴이다.
- 유튜브 광고
- 구글 디스플레이 광고
- 배너 광고
- 검색 광고
- 앱 광고
- 앞에서 말한 잠재고객은 주로 유튜브 광고 혹은 구글 디스플레이 광고를 할 때에 많이 활용한다.
- 실습 -
■ GA4에서 잠재고객 설정하는 방법 (순서)
- GA4에 들어간 다음 좌측의 ‘구성’에서 ‘잠재고객’을 선택한 다음 우측에 ‘새 잠재고객’ 버튼을 클릭한다.
- 잠재고객 템플릿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맞춤 잠재고객 만들기’를 선택한다.
- 상단에 잠재고객 그룹의 이름을 설정한 다음 우측의 ‘포함기간’에서 사용자가 운영하는 페이지 또는 서비스에 맞게끔 데이터 보관 기간을 설정한다.
- 이제 조건을 설정해주어야 한다.
- 조건을 클릭하면 대 카테고리로 ‘이벤트’, ‘측정기준’, '측정항목‘을 선택할 수 있고, 그 안에 세부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조건들을 입력해줌으로써 잠재고객에 대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 만약 2개 이상의 조건을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건 그룹 추가‘를 클릭하거나, 혹은 교집합을 의미하는 ’AND’를 합집합을 의미하는 ‘OR’을 선택함으로써 추가적인 조건을 설정해줄 수 있다.
- 모든 조건 설정이 끝났다면 저장하기를 누름으로써 잠재고객 설정을 완료한다.
-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원하는 리포트에 들어가 상단에 ‘모든사용자’ 혹은 ‘비교추가’버튼을 클릭해서 해당 잠재고객 조건에 맞는 고객 데이터를 볼 수 있다.
■ 구글 애즈에서 잠재고객을 타겟팅으로 활용하는 방법
- 구글 애널리틱스와 구글 애즈를 연동한다,
- 우측 상단의 ‘도구 및 설정’을 누르고 ‘잠재고객관리자’를 누름으로써 GA4에서 설정한 잠재고객을 확인할 수 있다.
- 해당 잠재고객 탭의 좌측에 체크박스에 체크를 함으로써 해당 잠재고객을 구글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다.
반응형
'구글애널리틱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UA] GA 계정의 접근 권한 부여하기 (0) | 2021.06.30 |
---|---|
[UA] 유니버셜 애널리틱스 계정 설정하기 (0) | 2021.06.29 |
GTM을 활용하여 이벤트 태그를 심는 방법 (0) | 2021.06.07 |
[GA4] 맞춤리포트 만들기 (0) | 2021.06.03 |
[GA4] 리포트는 어떤식으로 구성되어있을까? (0) | 2021.05.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