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글애널리틱스

[GA4]GA4에서 잠재고객을 활용하는 방법

by 이준건 2021. 6. 8.

 

 

 

 

■ 잠재고객?

  • 사이트에 고객이 유입되면 GA에서는 기본적으로 모든 데이터를 보여주는데,
  • 전체 데이터가 아닌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에 부합하는 데이터만을 보여주는 기능이다.

 

  • 한 번 잠재고객 조건을 설정하게 되면, 운영하는 서비스에 따라 다르겠지만, GA4에서는 최대 540일까지 잠재고객 데이터가 보관이 가능하다.
  • 즉, 유입 고객이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에 부합하다면 최대 540일까지 해당 고객을 모수로 활용한다는 것이다.

 


 

 

■ 잠재고객 활용 방법 2가지

 

 

1. 세그먼트로 활용

  • 전체 데이터 중에 내 조건에 맞는 유저의 데이터만 GA 리포트로 보는 기능이다.
  • ex, 남자 데이터만 보고싶다 혹은 특정 소스로 들어온 고객들의 데이터만을 보고자 한다면, 이런 것들을 잠재고객의 조건으로 하는 세그먼트로 만들어 해당 데이터만을 확인할 수 있다.
  • 세그먼트를 활용하면 하나의 리포트 화면에서 최대 4개까지 비교가 가능하다.
  • 세그먼트라는 기능은 잠재고객 기능을 활용하지 않더라도 이용이 가능하지만, 잠재고객으로 세그먼트를 했을 시의 장점은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을 필요할 때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2. 구글 애즈 연동

  • 구글 애즈와 연동함으로써 설정해 놓은 잠재고객을 타겟팅 대상으로 활용할 수 있다.
  • 반드시 구글 애널리틱스와 구글 애즈가 연동이 되어있어야 한다.

 

 


 

 

□ cf. 구글 애즈

  • 광고를 송출할 때 활용하는 구글의 마케팅 툴이다.

      - 유튜브 광고

      - 구글 디스플레이 광고

      - 배너 광고

      - 검색 광고

      - 앱 광고

 

  • 앞에서 말한 잠재고객은 주로 유튜브 광고 혹은 구글 디스플레이 광고를 할 때에 많이 활용한다.

 

 


 

 

 

- 실습 -

 

 

 

 

■ GA4에서 잠재고객 설정하는 방법 (순서)

 

  1. GA4에 들어간 다음 좌측의 ‘구성’에서 ‘잠재고객’을 선택한 다음 우측에 ‘새 잠재고객’ 버튼을 클릭한다.
  2. 잠재고객 템플릿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맞춤 잠재고객 만들기’를 선택한다.
  3. 상단에 잠재고객 그룹의 이름을 설정한 다음 우측의 ‘포함기간’에서 사용자가 운영하는 페이지 또는 서비스에 맞게끔 데이터 보관 기간을 설정한다.
  4. 이제 조건을 설정해주어야 한다.
  5. 조건을 클릭하면 대 카테고리로 ‘이벤트’, ‘측정기준’, '측정항목‘을 선택할 수 있고, 그 안에 세부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조건들을 입력해줌으로써 잠재고객에 대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6. 만약 2개 이상의 조건을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건 그룹 추가‘를 클릭하거나, 혹은 교집합을 의미하는 ’AND’를 합집합을 의미하는 ‘OR’을 선택함으로써 추가적인 조건을 설정해줄 수 있다.
  7. 모든 조건 설정이 끝났다면 저장하기를 누름으로써 잠재고객 설정을 완료한다.
  8.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원하는 리포트에 들어가 상단에 ‘모든사용자’ 혹은 ‘비교추가’버튼을 클릭해서 해당 잠재고객 조건에 맞는 고객 데이터를 볼 수 있다.

 

 

 

 

 

■ 구글 애즈에서 잠재고객을 타겟팅으로 활용하는 방법

  • 구글 애널리틱스와 구글 애즈를 연동한다,
  • 우측 상단의 ‘도구 및 설정’을 누르고 ‘잠재고객관리자’를 누름으로써 GA4에서 설정한 잠재고객을 확인할 수 있다.
  • 해당 잠재고객 탭의 좌측에 체크박스에 체크를 함으로써 해당 잠재고객을 구글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