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글애널리틱스

GTM을 활용하여 이벤트 태그를 심는 방법

by 이준건 2021. 6. 7.

 


 

■ 이벤트란?

: GA 내에서 측정하는 항목 즉, 사이트나 웹에서 나에게 의미 있는 행위가 발생했을 때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한다.

 

 

 

 


 

 

■ 의미 있는 행위?

  • GA4에서는 기본적으로 몇 개의 이벤트를 제공해주고 있지만, 그 외에 우리 사이트 또는 서비스에 맞는 의미 있는 이벤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이벤트 세팅을 해주어야 한다.

 

 

 

■ GA4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이벤트

  • 페이지 조회, 파일 다운로드, 동영상에 호응, 이탈 클릭, 스크롤, 사이트 검색
  • 데이터 스트림을 세팅하면 마우스 클릭으로 어떠한 이벤트 데이터를 수집할 것인지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다.

 

 

 

■ 이벤트 태그를 심는다는 의미?

  • GA 자체에서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이벤트에 대한 태그와 트리거를 설정함으로써 GA로 데이터를 보낼 수 있도록 함을 의미한다.

 

 


 

 

■ 이벤트 태그를 심는 방법 2가지

 

 

1. Google Developer를 이용하는 방법

  • 구글에서 제공하는 이벤트 양식에 맞춰 직접 태그를 만들어서 홈페이지에 심는 방법이다.
  • 홈페이지 또는 앱에 직접 코드를 짜서 심는 방법으로 GTM 방법보다 활용할 수 있는 범위는 많은데, 코딩에 관한 이해가 부족할 경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2. GTM(Google Tag Manager)를 이용하는 방법

  • 태그, 트리거, 변수를 활용해서 원하는 시점에 행위가 발생했을 때, 트리거가 작동하여 태그가 발생하도록 마우스 클릭 몇 번으로 세팅이 가능하다.
  • 트리거 안에 세팅할 수 있는 기준들로는 스크롤, 특정 버튼 클릭, 페이지 뷰, 동영상 시청 등이 있다.

 

 

2.1 GTM으로 이벤트 태그를 설정하는 방법 (순서)

 

① GTM 계정을 만든 다음 새로운 태그 만들기를 누른다.

② 태그 유형에는 Google 애널리틱스 GA4 이벤트로 설정한다.

구성 태그에는 미리 설정해놓은 추적코드에 해당하는 것을 선택한다.

이벤트 이름은 해당 태그가 어떤 이벤트에 관한 것인지 알 수 있도록 설정한다.

⑤ 이벤트 매개 변수를 어떻게 설정하는지가 중요한데, 이 부분에서 유니버셜 애널리틱스와 변경된 점이 많다.

  • 유니버셜 애널리틱스에서는 이벤트가 ‘카테고리’, ‘액션’, ‘라벨’이라고 정해져 있었다.
  • 그러나 GA4에서는 이전에 나뉘어 있던 기준까지도 직접 세팅을 해야 한다.
  • 이벤트 매개 변수에 어떤 이벤트인지를 보여주는 매개변수 이름을 설정하고 값을 설정한다.

해당 태그가 어느 시점에 실행되게 할 것인가를 설정해주는 트리거를 만든 다음 저장을 누른다.

⑧ GA4 실시간 보고서로 돌아와서 이벤트 이름별 이벤트 수를 보면 만들어진 이벤트 태그를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이벤트를 클릭하면 이벤트에 대해서 어떤 값들이 수집되는지 확인 가능하다.

 

 


 

 

■ 이벤트 리포트 확인하는 방법

 

: 이벤트 리포트는 참여도 탭에서 확인 가능하다.

 

: 이벤트 이름 우측에 ‘+’를 눌러서 맞춤(이벤트범위)에서 사용자가 정의한 이벤트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 이를 위해서는 좌측의 ‘구성’의 ‘맞춤 정의’를 눌러 맞춤 측정기준을 만들어야한다.
  • 측정기준 이름은 자유롭게 설정하되, 이벤트 매개변수에는 이전 GTM 태그에서 설정한 매개변수를 똑같이 입력해주어야 한다.
  • 맞춤 정의된 이벤트는 좌측 ‘이벤트’ 탭의 ‘이벤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만약 만들어놓은 이벤트를 이벤트가 아닌 전환으로 측정하고자 한다면, 우측에 ‘전환으로 표시’를 활성화하면 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