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마케팅, 리타겟팅
- 어떤 상호작용을 했던 유저를 다시 한 번 타겟팅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사이트를 방문했거나, 제품을 구매했던 유저를 다시 타겟팅하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유튜브에서의 리타겟팅은 조금 다르다.
- 유튜브는 동영상 플랫폼이기 때문에, 영상을 시청했던 유저나 혹은 유튜브 채널을 방문했던 유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 다음 그들을 대상으로 다시 한 번 광고를 보여줄 수 있다.
■ 유튜브 리마케팅은 왜 중요한가?
- 다른 타겟팅 방법보다 광고 효율이 조금 더 좋아지는 편이기 때문이다.
□ 리마케팅으로 활용할 수 있는 목록으로는
- 유튜브 채널에 방문했던 사람
- 채널에 있는 영상들을 한 번이라도 시청했던 사람
- 채널 내 수많은 영상 중에 특정 영상만을 시청했던 사람
- 특정 영상을 자연 검색을 통해 시청한 것이 아니라, 특정 광고를 통해 시청했던 사람
- 이 외에 채널에 방문했거나, 구독했거나, 영상을 재생 목록에 추가한 사람
그러나 리마케팅은 바로 구글 애즈에서 활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를 위해서는 유튜브 채널과 구글애즈 계정 간 연동이 필요하다.
즉, 채널 소유주와 구글 애즈 계정 소유주가 서로 다른 경우가 있기 때문에 상호 간 허락하는 절차가 있어야 한다.
이는 구글애즈 우측 상단의 ‘도구 및 설정’에서 ‘연결된 계정’을 누른 다음 유튜브 채널 주소를 입력해서 요청을 보내면 된다. 채널 소유주가 연동을 허락하면 채널과 관련되어 상호작용을 보인 유저들을 수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한 가지 절차가 더 필요한데, 연동을 한 다음 구글 애즈의 ‘도구 및 설정’에서 ‘공유 라이브러리’ 하의 ‘잠재고객 관리자’에서 잠재고객 목록(리마케팅 목록)을 생성해주어야 한다.
즉, 특정 행동을 보인 유저들을 잠재고객 목록으로 만들어야 데이터 수집하고 이를 리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다.
cf. 소유주가 다를 경우에 연동을 허락하면 내 채널의 정보들이 다 노출되는것은 아닌가요?
- 유튜브 채널이랑 구글 애즈 계정의 소유주가 다를 경우, 연결함과 동시에 채널 정보 등 보안 문제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데,
- 상호작용을 보인 유저들을 모아놓을 수는 있지만, 그들의 정보는 알 수가 없고, 추가적으로 채널에서 발생한 조회수나 구독자가 얼마나 증가했는지 또한 알 수 없다.
※ 리마케팅의 예시
- 오뚜기 진라면 매운맛에 대한 광고를 시청했던 사람들에 대한 데이터를 모아두었다고 한 다음, 이후에 오뚜기 진비빔면이라는 신제품을 출시했다. 오뚜기에서 신제품 광고를 할 때 이전에 진라면 매운맛 광고를 시청했던 사람들에게 신제품 광고를 노출시키는 것이 리마케팅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구글애즈 리마케팅 실습 -
□ 구글 애즈와 유튜브 채널 연결하는 방법
- 구글 애즈의 우측 상단의 ‘도구 및 설정’에서 ‘연결된 계정’을 누른다.
- ‘유튜브 상세보기’를 누르고 ‘Add Channel’을 누른다.
- 채널 주소를 넣은 다음 소유주의 동일 여부에 따라 2개 중 하나의 체크 박스를 선택한다.
- 만약 소유주가 서로 다를 경우에는 이메일 주소를 적은 다음 요청보내기를 누른다.
- 연동이 이루어지면 채널 구독자, 영상 시청자, 채널 방문자 등 이런 모수를 수집을 위해서 잠재고객 목록을 만들어야 한다.
□ 연동 후 리마케팅 목록 생성하는 방법
- 구글 애즈의 ‘도구 및 설정’을 누르고, ‘공유 라이브러리’하의 ‘잠재고객 관리자’를 선택한다.
- 파란색 + 버튼을 누른 다음 ‘YouTube 사용자’를 선택한다.
- 잠재고객 이름을 설정하고, 어떠한 리마케팅 목록으로 만들 것인지를 '목록 회원'을 눌러 선택한다.
- ‘미리 채워진 옵션’의 의미는 리마케팅 목록은 만든 시점과 동시에 그 이후부터 쌓이기 때문에, 그 이전에 있는 목록들은 우리가 만들 수 없는 구조이다. 그래서 이 목록을 만들기 30일 전까지의 사용자들은 우리가 가져올 수 있다는 의미이다.
- ‘멤버십 기간’의 의미는 목록을 만든 다음 얼마나 유저 데이터를 목록으로서 보관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것이고, 최대 540일까지 설정이 가능하다.
- 모든 설정을 완료 후 만들기를 누르면 리마케팅 목록이 만들어진다.
- 아래는 리마케팅 목록이며, 크게 3가지 카테고리로 나뉘어 있다.
- 채널의 동영상을 조회함
- 특정 동영상을 조회함
- 채널의 동영상을 광고로 조회함
- 특정 동영상을 광고로 조회함
- 채널을 구독함
- 채널 페이지를 방문함
- 채널의 동영상을 좋아함
- 채널의 동영상을 재생목록에 추가함
- 채널의 동영상을 공유함
□ 타겟팅 목록을 유튜브에서 타겟팅하는 방법
- 구글애즈에서 ‘캠페인’을 선택한 다음 ‘잠재고객’ 탭을 선택한다.
- ‘광고그룹 선택’을 눌러 그룹을 선택하고, ‘찾아보기’ 탭을 선택한다.
- ‘비즈니스와 상호작용한 방식’을 눌러서 ‘YouTube 사용자’를 선택한다.
- 이전에 만들어 놓은 리마케팅 목록을 선택함으로써 리마케팅을 진행할 수 있다.
반응형
'디지털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 광고 캠페인 세팅 방법 (0) | 2021.06.14 |
---|---|
유튜브 광고, 타겟팅의 원리 (0) | 2021.06.14 |
유튜브광고, 맞춤 타겟팅? (0) | 2021.06.10 |
노출 목적의 유튜브 광고상품, CPM? CTR? (0) | 2021.06.10 |
조회수 목적의 유튜브 광고, CPV, VTR은 어느 정도가 좋은 효율일까? (0) | 2021.06.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