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상 페이지뷰란 무엇인가?
- 페이지뷰 : 고객이 어떤 페이지에 접속하면 ‘페이지 뷰’가 발생하는데, 의미는 페이지를 보았다는 의미이다.
- 가상페이지뷰 : 고객이 가상의 페이지를 봤다는 의미로,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페이지를 보았다는 의미이다.
■ 가상 페이지뷰를 왜 만들어야 하지?
- 고객이 동일한 URL의 페이지에서 어떤 버튼을 눌러 추가적인 액션을 했을 때
- 이러한 액션을 추적하기 위해서 가상 페이지를 만드는 것이다.
- 만약 가상 페이지뷰가 설정되어있지 않다면
- 사용자가 특정 액션을 취했음에도 URL이 동일하기 때문에
- GA는 페이지뷰만 히트로 받고 추가적인 액션 및 이벤트 히트는 추적하지 못한다.
↑
페이지에서 위와 같은 입력란에 내용을 입력하고
'제출하기'를 클릭하는 추가적인 액션이 발생했음에도
URL 자체에는 변화가 없기 때문에 GA에서는 사용자의 추가적인 액션을 추적하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가상 페이지뷰를 설정해줌으로써 추가적인 액션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
Q. 그렇다면 버튼을 누르는 행위를 클릭 이벤트로 수집하는 것보다 가상 페이지뷰를 만드는 것이 더 나은 이유는?
- 퍼널(Funnel)을 보기 위해서는 ‘전환’의 ‘목표’ 하에 ‘유입경로 시각화’를 확인해야 한다.
- GA에서는 페이지 단위로 퍼널을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 퍼널을 설정할 때 단순히 클릭 이벤트를 수집해놓으면 페이지 단위의 퍼널을 설계할 수 없다.
- 따라서 가상의 페이지뷰를 수집함으로써 페이지 단위의 퍼널을 설계할 수 있다.
- 즉, 고객의 특정 액션을 이벤트가 아닌 가상의 페이지뷰로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 각 단계별 퍼널을 설계할 수 있다.
■ 가상 페이지 뷰 만들 때 주의할 점
- 페이지뷰는 전부 URL 패턴이 있는데
- 패턴 앞에 반드시 가상 페이지뷰를 명시하는 ‘virtual’이라는 단어를 추가해야 한다.
> ex) ‘/virtual/join/complete’ : 회원가입완료 - [해당 페이지의 성격 즉, 컨셉 등으로 URL 패턴 설정하면 된다.]
■ 실습 ■
블로그에 팝업을 띄우지 않는 대신
접은글의 '더보기'를 누르는것을 가상페이지뷰로의 이동으로
'더보기' 내의 블로그 링크를 누르는 행위를 가상페이지뷰에서의 내용 제출 완료로 가정하여 실습해보겠다.
■ 구글태그매니저(GTM)를 활용한 가상 페이지뷰 수집 과정
- GTM에서 새로운 태그를 생성한다. ex, GA-Pageview-Virtual-○○○○등으로 태그 이름을 설정한다.
- 태그 유형은 GA(UA), 추적 유형은 ‘페이지뷰’를 선택하고 속성 변수를 선택한다.
- 속성 변수 밑에 있는 ‘이 태그의 설정 재정의 사용’에 체크를 하고 기타 설정에 ‘설정할 입력란’을 선택한다.
- 입력할 이름’에 page와 값에 ‘/virtual/lead_try/’를 입력하고,
- 입력란을 추가하여 title과 값에 ‘가상페이지로의 이동시도’를 입력한다.
- 트리거를 설정해야 하는데, 트리거는 웹사이트마다 다 다르기 때문에, 예시로 트리거 유형에 ‘클릭-모든 요소’로 설정한다.
- ‘Click Classes’ → ‘같음’ → ‘CTA 같은 클릭 링크 코드’
- ‘Click Text’ → ‘포함’ → ‘더보기’를 입력하고 저장을 누른다.
- 태그가 제대로 삽입되었다면, 이 데이터는 GA의 실시간 보고서 중 콘텐츠 하에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사진으로 위의 단계들을 차례대로 실습해보겠다.
↓
↓
↓
↓
↓
↓
■ 가상페이지뷰로의 이동 후 내용 제출 완료 태그 및 트리거 생성
- 방법은 가상페이지뷰를 발생시키는 과정과 동일하다.
- GA_Pageview_Virtual_이동 후 제출 완료라는 새로운 태그를 생성한다.
- 태그 유형은 GA, 추적 유형에는 ‘페이지뷰’, 속성 변수까지 선택한다.
- ‘이 태그의 설정 재정의 사용’에 체크하고, 기타 설정 하의 설정한 입력란에
- 입력란 이름에 ‘page’를 → 값에 ‘/virtual/submit_complete/’를 넣고,
- 입력란을 추가하여 ‘title’ - 값에 ‘가상페이지 이동 후 제출 완료’를 넣는다.
- 마지막으로 새로 생성한 태그에 대한 트리거 또한 만들어주어야 한다.
↓
↓
↓
■ cf. 트리거 설정시 'click class' 확인하는 방법
- CTA 버튼 등 특정 버튼들의 click class를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해당 버튼에 마우스를 올리고 우측 마우스 버튼을 클릭한다.
- 클릭을 하고 밑에 '검사'를 누른다.
- 누르게 되면 f12를 누르는 것과 동일한 화면이 노출되며
- 다시 해당 버튼의 검사를 누르면 해당 버튼의 click class, text 등 트리거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구글애널리틱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UA] 채널 그룹 설정하기 (0) | 2021.07.09 |
---|---|
[UA] GA '세그먼트' 이해하기 (0) | 2021.07.07 |
[GA] 사용자 지표, 세션 지표? (0) | 2021.07.06 |
[GA] 이탈률(Bounce rate)? (1) | 2021.07.06 |
[UA] 적용하면 도움이 되는 필터 5가지 (0) | 2021.07.04 |
댓글